티스토리 뷰
국민연금공단 사이트에 접속하면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 서비스를 누구나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있습니다. 컴퓨터 혹은 USB에 저장된 공인인증서로 로그인을 한 뒤, 자신의 연금 납부액을 조회할 수 있다지요.
그 방법을 차근차근 안내해드리오니, 자신의 국민연금 납부액이 궁금하신 분들은 따라해보시길 바랍니다.
국민연금공단 사이트 주소는 www.nps.or.kr 입니다.
연금공단 사이트에 접속하셨으면 민원신청 ->개인민원(조회/증명) 으로 이동하세요.
사업장 서비스로는 보험료 결정내역 조회/증명, 사업장가입자 증명서, 사업장보험료 납부내역 조회/증명, 사업장가입자 증명서 등을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개인 서비스로는 연금정산용 가입내역 확인서, 가입내역 조회, 가입증명서, 보험료 결정내역 조회, 지역자격취득대상자의 소득신고 등을 확인할 수 있구요.
오늘은 '가입내역 조회' 메뉴를 이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개인 공인인증서'로 로그인을 하라고 메시지가 뜹니다.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고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눌러줍니다.
그러면 바로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 결과가 뜹니다. 아래는 오늘 날짜로 조회한 저의 국민연금 가입내역입니다.
우선 총납부내역이라고 해서, 납부한 연금보험료, 납부하지 않은 연금보험료, 납부할 수 없는 연금보험료로 구분해서 나옵니다. 반납금 납부액, 추압보험료 납부액도 함께 계산되어져 나오구요.
그 다음에는 연금보험료 상세내역이 나옵니다. 기간 별로 기준소득월액이 얼마였으며, 그 기간에 납부한 보험료, 납부하지 않은 보험료가 얼마인지 보여줍니다.
예상연금월액(노령연금) 내역도 함께 나옵니다. 현재가치 기준으로 산정된 예상연금액, 총 예상가입기간, 총 예상납부보험료를 계산해서 보여줍니다.
저의 경우 위의 결과값들을 조회해보니 앞으로 국민연금을 열심히 납부해야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현재까지는 납부한 금액이 적어서 제가 늙었을 때 연금도 별로 못 받을 것 같더라구요. 국민연금도 노후 대비의 좋은 수단 중 하나라는 생각이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