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오늘은 위택스 사이트를 이용해서 자동차세 조회 및 납부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인터넷으로 세금을 납부하면 시간과 수고를 많이 아낄 수 있는 만큼, 잘 따라해보시길 바랍니다.
우선 위택스 사이트로 접속을 하셔야 합니다. 포탈사이트에서 위택스라고 검색을 하거나, www.wetax.go.kr 이 URL을 입력하고 접속하셔도 무방합니다.
위택스에 접속한 화면입니다. 만약 집에 자동차세 고지서가 왔다면 바로 '납부하기' 메뉴로 들어가면 되고, 단순히 올해 자동차세가 얼마나 나올지 조회해보고 싶은 상황이라면 '세액미리계산하기' 메뉴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일단은 단순히 자동차세 조회 하는 경우를 먼저 가정해보겠습니다. 메인화면 하단에 있는 '세액미리계산하기'로 들어가주세요.
취득세, 자동차세, 지방소득세, 주민세, 지연자원시설세 등을 미리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 '자동차세'를 선택해주세요.
차종구분을 할 차례입니다. 승용자동차, 승합자동차, 화물자동차, 특수자동차, 삼륜이하소형차 중에서 해당 차량을 선택해주세요. 일반적으로 '승용자동차'가 가장 많을 것입니다.
그 다음에는 차량용도에서 영업용 혹은 비영업용을 선택해주시구요.
저는 일반 자동차이므로, 비영업용을 선택했습니다.
그 다음에는 최초등록년월, 과세년도, 배기량을 정확하게 입력해줍니다. 저의 경우 예시를 들기 위해, 2006년 10월에 등록한 차량의 2016년 자동차세 조회를 해보기로 했습니다.
배기량은 1999cc를 입력하였구요.
모든 내용을 정확하게 입력하였는지 확인하고 '세액미리계산하기'를 누릅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차량 년수에 따라 경감적용율이 몇 퍼센트 적용되었는지와, 실제로 납부해야 되는 세금이 얼마인지 구체적으로 나옵니다.
제가 예시를 든 차량의 경우 2016년 상반기 15만 5920원을 내야하고, 2016년 하반기에는 14만 2920원을 납부해야 합니다.
2016년 총 자동차세 납부 금액은 29만 8840원이구요.
그렇다면 이미 자동차세를 납부하라는 고지서를 받은 경우라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그럴 때는 위택스 사이트 메인 화면 오른쪽에 보면 전자번호납부라는 메뉴가 있습니다.
여기에 19자리를 입력하고 '조회' 버튼을 누른 후 결제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만약 고지서를 잃어버렸다면, 걱정하지 마시고, '납부하기' 메뉴로 들어가면 세금 고지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택스 상에서 세금 납부를 하려면 공인인증프로그램을 꼭 설치해야 합니다. 여러가지 보안 프로그램과 함께 말이죠.
보안 상 꼭 필요한 프로그램들이므로 설치하도록 합니다.
아래는 '납부하기' 메뉴로 들어간 모습입니다. 조회기간, 관할지, 주민번호, 조회대상을 선택하고 '검색'을 누르면, 위택스에서 납부가 가능한 모든 세금이 조회됩니다.
이후 고지정보를 선택한 후 통합납부바구니에 담습니다. 그리고 나서 최종적으로 지방세, 지방세외수입, 환경개선부담금을 한꺼번에 결제하시면 된답니다.
처음에는 조금 힘들 수 있어도, 여러번 위택스 사이트를 이용하다보면 자동차세와 같은 지방세 납부하기가 쉽게 느껴지실 것입니다. 이번 기회에 꼭 한번 도전해보세요.